2. 데이터
2-1. 0과 1로 숫자를 표현하는 방법
- 비트: 0과 1을 나타내는 가장 작은 정보 단위 (n비트는 2ⁿ가지 정보 표현 가능)
- 워드: CPU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
- 이진수의 음수 표현
- 2의 보수: 어떤 수를 그보다 큰 2ⁿ에서 뺀 값 (e.g., 11(2)의 2의 보수는 100(2)에서 11(2)를 뺀 01(2)) 또는 모든 0과 1을 뒤집고 거기에 1을 더한 값
- 실제로 이진수만 보면 양수인지 음수인지 판단하기 어렵기 때문에 플래그를 사용한다.
- 2의 보수 표현의 한계: n비트로는 - 2ⁿ과 2ⁿ을 동시에 표현할 수 없다.
2-2. 0과 1로 문자를 표현하는 방법
- 문자 집합: 컴퓨터가 인식하고 표현할 수 있는 문자의 모음
- 문자 인코딩: 문자를 0과 1로 변환해서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게 하는 변환 과정
- 문자 디코딩: 0과 1로 이루어진 문자 코드를 사람이 이해할 수 있게 변환
- 아스키 코드
- 초창기 문자 집합 중 하나
- 영어 알파벳과 아라비아 숫자, 일부 특수 문자 포함
- 7비트, 총 128개 문자 표현 (실제로는 8비트, 1비트는 패리티 비트)
- 유니코드: 여러 나라의 문자를 광범위하게 표현할 수 있는 통일된 문자 집합
'TIL >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형대수학의 본질 (3blue1brown) (0) | 2024.11.25 |
---|---|
컴퓨터구조 알아보기 (0) | 2024.11.24 |
컴퓨터 명령어 (0) | 2024.11.16 |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 구조 + 운영체제 1장. 컴퓨터 구조 시작하기 (0) | 2024.11.13 |
[이산수학] 그래프 (0) | 2024.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