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요구사항 분석도출: 조사범위 결정, 수집, 분석분석: 판단, 세분화, 통합, 상세화기록: 문서화, 확인, 관리복합 속성(생년월일): 들여 쓰기다중값: {}. 유도값()화살표 없으면 多, 전체 참가->두줄, 약한 개체->두줄데이터 모델: 현실 세계의 정보들을 표현하기 위해 단순화, 추상화하여 표현한 모형슈퍼키: 유일성, 후보키: 유일성, 최소성SELECT: σ조건(R)PROJECT: Π(R)where 절이 없는 update, delete 문은 전체 레코드 대상 파일 처리 시스템의 문제: 보안성, 경제성, 일관성이중 다이아몬드: 약한 관계 집합컬럼 삭제: ALTER TABLE _ DROP COLUMNGroup by SELECT 절에 그룹 기준 외에 쓸 수 없음HAVING: 집계 결과 레코드에 대한 조..
관계형 모델은 데이터베이스를 릴레이션의 집합으로 구성하는 것 릴레이션 스키마: 컬럼과 각 컬럼의 순서 및 도메인, 릴레이션의 이름 포함 차수: 릴레이션 안의 컬럼의 수 카디널리티: 릴레이션 안의 레코드의 수영역(도메인): 컬럼이 가질 수 있는 값의 범위 슈퍼 키: 레코드를 고유하게 구별할 수 있는 컬럼의 집합 (한 개 이상의 컬럼으로 구성될 수 있다)후보 키: 슈퍼 키 중에서 최소한의 컬럼으로 구성된 슈퍼키 관계 대수SELECT σ조건(R)σ학과='국문학과'(학생) : 학생 릴레이션에서 학과가 국문학과인 레코드 선택 PROJECT특정 컬럼만 추출
데이터 모델링 단계 1.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 추상화 기법 사용 2.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 DBMS에 맞는 구현 데이터 모델인 스키마로 변환 일반적으로 관계형 모델 사용 최종적으로 목표 DBMS의 데이터 정의 언어로 기술된 논리 스키마 생성 3. 물리적 데이터 모델링 논리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 파일의 물리적 저장 방식을 결정하는 물리적 데이터 모델링 과정을 거쳐야 완전한 DDL문으로 완성 DBMS 및 하드웨어의 특징 고려하여 접근 방법 선택 레코드 저장 방법, 데이터 타입 등 계산하여 설계 RFP: Request for Proposal, 제안 요청서 요구사항 분석 프로세스: 요구사항 도출 > 분석 > 기록 요구사항 코드 예시 FUR(Function Requirement): 기능 요구사항 SFR(Syste..
데이터베이스의 필요성 데이터 단위 bit (*8) byte (*1024) kilobyte (*1024) megabyte (*1024) gigabyte (*1024) terabyte TB (*1024) petabyte PB (*1024) exabyte EB (*1024) zettabyte ZB (*1024) yottabyte YB (아직 지구에 YB 단위 저장할 수 있는 곳은 없음) 데이터의 양적 증가 → 관리 필요성 증대 1년에 대략 60ZB의 데이터가 쌓이고 있음 (128GB 아이패드를 쌓았을 때 달까지 3번 반 왕복 가능) 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 기존에는 데이터 관리 위해 파일 사용: 파일 처리 시스템 File Processing System 데이터를 파일에 나누어..
참고: https://tomcat.apache.org/tomcat-9.0-doc/jndi-datasource-examples-howto.html Apache Tomcat 9 (9.0.73) - JNDI Datasource How-To JNDI Datasource configuration is covered extensively in the JNDI-Resources-HOWTO. However, feedback from tomcat-user has shown that specifics for individual configurations can be rather tricky. Here then are some example configurations that have been poste tomcat.apa..
alias 이용해서 join select T1.id, name, job, sal from test1 T1, test2 T2 where T1.id = T2.id(+); select T1.id, name, job, sal from test1 T1, test2 T2 where T1.id(+) = T2.id;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