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제와 논리연산 명제 proposition: 참과 거짓을 구별할 수 있는 문장이나 수학적 식 합성명제 compound proposition: 하나 이상의 명제와 논리연산자들이 결합되어 만들어진 명제 논리연산: 참, 거짓을 구별할 수 있는 명제를 대상으로 하는 연산 논리합(or, ∨) disjunction 하나라도 T가 있으면 T 논리곱(and, ∧) conjunction 하나라도 F가 있으면 F 부정(not, ~) negation T → F, F → T 배타적 논리합(xor, ⊕) exclusive disjunction 2개 중 1개만 T인 경우 T (T, T 거나 F, F면 F) p ⊕ q = (p ∧ ~q) ∨ (~p ∧ q) or인데 and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 (두개가 동일한 경우를 배제) 두개가..
데이터 시스템 시스템의 정의 ① 입력과 출력이 있는 검은 상자 ②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호작용하는 구성요소의 집합 (연구 관점에 따라 같은 시스템도 다른 구성요소나, 목적, 상호작용을 가질 수 있음) 디지털 논리 회로: 컴퓨터 시스템의 가장 기본적인 구성 요소 (2진 디지털 논리를 논리게이트로 구현) 아날로그: 데이터를 연속적인 값으로 표현 디지털: 데이터를 이산적인 값으로 표현 (아날로그 데이터의 근사치 표현) 아날로그 시스템: 입력과 출력이 아날로그 데이터 디지털 시스템: 입력과 출력이 디지털 데이터 디지털 시스템의 장점 숫자 입출력으로 데이터 인식 및 조작이 편리 외부의 조건이 변하면 시스템의 실행 순서 조정 가능 디지털 회로에서는 두 가지 상태만 취급하여 설계가 용이 0/1의 신호만 유지하면 되..
운영체제 개요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 하드웨어 CPU, 메모리, 입출력장치, 저장장치, 네트워크 장치 등 소프트웨어 응용 소프트웨어 (웹 브라우저, 그래픽 소프트웨어 등) 시스템 소프트웨어 (응용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사이의 매개체 > 운영체제, 컴파일러 등) 운영체제: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 관리, 컴퓨터 프로그램 동작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들의 모임 운영체제의 역할 자원 관리 자원: 하드웨어 자원, 소프트웨어 자원, 데이터 포함 데이터 읽기, 장치 제어, CPU 및 메모리 관리 등 사용자 지원 사용자가 내린 명령 해석 사용자와 하드웨어 사이의 매개체 입력 내용 응용 프로그램에 전달 등 운영체제 등장 이전의 문제점 초기 컴퓨터에는 운영체제가 존재하지 않았음 사용자가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직접 하드..
연속: 중단 또는 급격한 변화가 없는 상태 연속수학: 미적분학, 위상수학, 복소수론, 해석학 등 이산: 불연속적인 상태 (cf. 실수 vs 자연수) 컴퓨터에서 다루는 것은 이산적인 디지털 데이터 도구: 수학의 정의definition와 정리theorem 기법: 가감법, 대입법 등 (방정식의 해를 구할 때) 방법론: 문제 해결을 위해 적합하게 사용할 기법을 선택 수학적 모델링: 실생활의 문제 > 수학적 모델 데이터 모델링: 실생활의 문제 > 컴퓨터의 영역으로 옮기는 과정 추상화: 핵심만 남기고 관련 없는 것은 제거 (ex. 자동차의 색이 어떤 것인가와는 관계없이, 운전면허가 있으면 어디서든 운전 가능 > 자동차의 추상화 때문) 실생활에서 해결해야 하는 문제가 추상화를 거쳐 데이터 형태로 컴퓨터에 저장 컴퓨터..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