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준 17478: 재귀함수가 뭔가요? (파이썬) 17478번: 재귀함수가 뭔가요? 평소에 질문을 잘 받아주기로 유명한 중앙대학교의 JH 교수님은 학생들로부터 재귀함수가 무엇인지에 대하여 많은 질문을 받아왔다. 매번 질문을 잘 받아주셨던 JH 교수님이지만 그는 중앙대 www.acmicpc.net # [BOJ] 17478. 재귀함수가 뭔가요? 2022-05-08 def answer(n): global N txt = '____' * n if n == N: print(f'{txt}"재귀함수가 뭔가요?"\n{txt}"재귀함수는 자기 자신을 호출하는 함수라네"\n{txt}라고 답변하였지.') return else: print(f'{txt}"재귀함수가 뭔가요?"\n{txt}"잘 들어보게. 옛날옛날 한 산 꼭대기에 이..
백준 2941: 크로아티아 알파벳 (파이썬) 2941번: 크로아티아 알파벳 예전에는 운영체제에서 크로아티아 알파벳을 입력할 수가 없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크로아티아 알파벳을 변경해서 입력했다. 크로아티아 알파벳 변경 č c= ć c- dž dz= đ d- lj lj nj nj š s= ž z= www.acmicpc.net # [BOJ] 2941. 크로아티아 알파벳 2022-04-28 S = input() alphabets = ['c=', 'c-', 'dz=', 'd-', 'lj', 'nj', 's=', 'z='] for a in alphabets: if a in S: S = S.replace(a, 'x') print(len(S))
백준 1929: 소수 구하기 (파이썬) 1929번: 소수 구하기 첫째 줄에 자연수 M과 N이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1 ≤ M ≤ N ≤ 1,000,000) M이상 N이하의 소수가 하나 이상 있는 입력만 주어진다. www.acmicpc.net # [BOJ] 1929. 소수 구하기 2022-04-25 def prime(m, n): # m 이상 n 이하의 소수 출력 sieve = [1] * (n + 1) for i in range(2, n + 1): if sieve[i] == 1: if i >= m: print(i) for j in range(i + i, n + 1, i): sieve[j] = 0 M, N = map(int, input().split()) prime(M, N)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사용
백준 1316: 그룹 단어 체커 (파이썬) 1316번: 그룹 단어 체커 그룹 단어란 단어에 존재하는 모든 문자에 대해서, 각 문자가 연속해서 나타나는 경우만을 말한다. 예를 들면, ccazzzzbb는 c, a, z, b가 모두 연속해서 나타나고, kin도 k, i, n이 연속해서 나타나기 때 www.acmicpc.net # [BOJ] 1316. 그룹 단어 체커 2022-04-21 N = int(input()) ans = N # 모두 그룹단어라는 가정하에 시작 for _ in range(N): L = [] S = input() for i in range(len(S)): if S[i] not in L: # 이전에 나온 문자인지 체크 L.append(S[i]) elif S[i-1] != S[i]: # 이전에 ..
백준 1065: 한수 (파이썬) 1065번: 한수 어떤 양의 정수 X의 각 자리가 등차수열을 이룬다면, 그 수를 한수라고 한다. 등차수열은 연속된 두 개의 수의 차이가 일정한 수열을 말한다. N이 주어졌을 때, 1보다 크거나 같고, N보다 작거나 www.acmicpc.net # [BOJ] 1065. 한수 2022-04-19 N = input() L = len(N) if L
백준 1978: 소수 찾기 (파이썬) 1978번: 소수 찾기 첫 줄에 수의 개수 N이 주어진다. N은 100이하이다. 다음으로 N개의 수가 주어지는데 수는 1,000 이하의 자연수이다. www.acmicpc.net # [BOJ] 1978. 소수 찾기 2022-04-18 N = int(input()) L = list(map(int, input().split())) ans = 0 for l in L: cnt = [] for i in range(1, l + 1): # 1부터 약수인지 찾기 시작 if l % i == 0: cnt.append(i) # 약수는 배열에 저장 if len(cnt) == 2: # 소수는 약수의 개수가 2 ans += 1 print(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