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사항
프로젝트 정보를 입력한다
리소스 그룹: 동일 태스크를 목적으로 하는 리소스들을 논리적으로 모아둘 수 있는 그룹
신속한 서비스를 위해서는 사용자의 유입과 가까운 지역 선택
규모에 따른 가용성 영역도 선택해 준다.
테스트용으로 굳이 중복이 필요 없으면 필요하지 않습니다 선택
이미지는 가상 머신이 만들어지고 설치하는 운영체제
spot 할인은 Azure와 기업이 SLA 맺고 나서 등 할인해 주는 정책
크기가 과금에 가장 큰 차이 만드니 주의할 것
디스크
VM으로 삭제: 체크하면 가상 머신 삭제할 때 디스크도 함께 삭제한다
LUN: Logical Unit Number, 일반적으로 스토리지에 쓰는 용어
논리적 디스크 영역에 해당하는 고유 번호
네트워킹
가상 머신 만들 때 네트워크도 같이 생성된다
Azure 정책 상 가상머신이 삭제되고 공용 ip만 남아있게 되면 과금 대상이 된다
공용 IP 함께 삭제되도록 체크 가능
관리
고급
자동화 관련 내용 포함
태그
가상 머신에 필요한 메타데이터 추가 가능
유효성 검사 통과하면 가격 확인 가능
SSH 키 쌍을 선택해서 프라이빗 키가 발급된다 (다운로드된 키 잘 관리할 것!!)
배포 완료 되면 리소스는 바로 사용 가능한 상태가 된다
잘 추가되었다!
추가) Tabby Terminal로 접속해 보기
인바운드 포트 규칙에서 서비스: SSH, 포트: 22 정책 추가해 준다
프로필 및 연결 > ssh
만든 가상 머신의 공용 ip를 확인하고, 입력했던 사용자 id와 일치하게 입력하고 pem키 업로드
'TIL > Cloud' 카테고리의 다른 글
[Microsoft Azure] 키 자격 증명 모음 (0) | 2024.12.07 |
---|---|
[Microsoft Azure] PostgreSQL 서버 생성해보기 (0) | 2024.12.05 |
클라우드 컴퓨팅 기본 개념 (2) | 2024.12.03 |
[Microsoft Azure] 자격증 정보 찾아보는 방법 (0) | 2024.11.28 |
[Microsoft Azure] 예산 설정하기 (1) | 2024.11.27 |